분류 전체보기 71

Getting Started With The Environment Light Mixer (Ray Traced Cinematic Lighting for Exteriors)

이번 단원에서는 씬에 햇빛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이때 여러 액터를 가져와야 하는데 환경 라이트 믹서라는 유용한 툴을 사용하면 됩니다 이 액터들이 어떻게 연결되었는지와 애트머스페릭 라이트 관련 팁과 트릭 몇 가지를 알아보고 스카이 라이트를 자세히 살펴본 다음 익스테리어 라이팅을 심도 있게 탐구해 보겠습니다 우선 라이팅 레벨을 만듭니다 '콘텐츠 브라우저'에서 우클릭한 뒤 새 레벨을 만들고 '_lighting_day'로 이름을 지정합니다 그리고 '레벨' 탭에 드래그 앤 드롭한 뒤 더블클릭해서 메인 레벨로 만듭니다 이제 환경 라이트 믹서를 열 준비가 되었습니다 '라이트제외' 모드에서 '라이팅포함' 모드로 바꾸고 맨 위의 '창' 탭에서 '환경 라이트 믹서'를 클릭하면 됩니다 처음 열면 이런 창이 나타나는데 원하는..

UE4,5 2022.09.13

Types Of Lights In Unreal Engine (Ray Traced Cinematic Lighting for Exteriors)

오늘은 라이트 액터를 살펴보고 익스테리어 샷에 라이트 액터를 최대한 활용하는 법을 알아봅니다 이 단원에서는 우선 시네마틱 미학이라는 목표 달성에 필요한 라이트를 분석합니다 저희가 사용할 라이트 액터는 다음 카테고리에 속합니다 첫 번째는 환경 라이트입니다 자연광이라고도 하는데 월드 자체에서 나옵니다 햇빛, 달빛, 스카이 앰비언스가 대표적이죠 다음은 프랙티컬입니다 현실에서 빛을 만들어내는 광원이며 프레임 안에서 볼 수 있죠 전등, 가로등, 자동차 전조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실제 라이트를 표현하고 현실에서 빛을 방출한다면 프랙티컬 라이트라고 합니다 다음은 에뮬레이티드 라이트입니다 환경 라이트와 아주 비슷하지만 다릅니다 에뮬레이티드 라이트는 라이트 액터를 배치해서 환경 광원과 프랙티컬 광원을 강조하고 에뮬레..

UE4,5 2022.09.13

Referencing Reality And Cinematic Realism (Ray Traced Cinematic Lighting for Exteriors )

영화 촬영감독은 물론이고 라이팅 아티스트에게도 매우 중요한 프리 프로덕션 단계를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바로 레퍼런스입니다 글로벌 일루미네이션도 살펴보고 원하는 룩을 만드는 데 어떤 도움을 주는지도 알아봅니다 그러면 시네마틱 리얼리즘도 다뤄야 합니다 시네마틱 리얼리즘이 무엇일까요? 이 강좌에서 말하는 시네마틱 리얼리즘은 라이팅과 이미지를 통해 영화나 사진의 시각적 언어에서 흔히 보이는 리얼리즘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매우 주관적인 용어인 것은 사실이지만 잘 만든 결과물은 보면 알 수 있죠 시네마틱 리얼리즘은 누가 봐도 CG인 부분과 사실적인 부분 사이의 경계를 흐릿하게 합니다 이 강좌에서는 이러한 리얼리즘을 달성하는 데 레이 트레이스드 라이팅 기법을 사용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시각적 사실성입니다 사진과 영..

UE4,5 2022.09.13

Distance Field Shadows

Distance Field Shadows (디스턴스 필드 섀도, DFS) 무버블 광원에서 리지드 메시에 대해 오브젝트 디스턴스 필드를 사용하여 동적 광원에서 나오는 영역 그림자를 효율적으로 계산 그림자를 받을 점에서 각 라이트 방향 씬의 Signed Distance Fields (부호화 디스턴스 필드, SDF)를 통해 레이 트레이싱을 합니다 차폐된 오브젝트까지 가장 가까운 거리를 사용하여 레이 트레이싱과 거의 같은 비용으로 콘 트레이싱을 추정합니다. 구면 광원 모양에서 높은 퀄리티의 영역 그림자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디스턴스 필드 섀도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영역 그림자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가까이 접한 그림자는 선명하게 유지하다 멀어질 수록 연하게 만드는 식으로 현실의 그림자를 흉내냅니다. 포인트 및 스포..

UE4,5 2022.04.22

Procedural Foliage Spawner, Landscape Grass Type

랜드스케이프에 폴리지를 뿌리는데는 3가지 방법이 있다. 1. '페인트'로 폴리지 뿌리기 2. '프로시저럴 폴리지 스포너'로 뿌리기 3. 랜드스케이프 머티리얼에서 '그래스 노드'로 뿌리기 1번은 아니까 패스. 2번 프로시저럴은 꼭 필요한 단계가 있다. 그리고 작동하는데 쓸데없이 단계가 많다. 폴리지는 파종되는 씨앗같이 시뮬레이션된다. -중요옵션 2가지. Num Steps - 폴리지 씨앗을 뿌리고 몇년 지났냐. 년수가 올라갈수록 폴리지가 많아진다. Initial Seed Density - 처음에 얼마나 폴리지 씨앗을 뿌렸냐. 밀도가 올라갈수록 폴리지가 많아진다. 3. Grass 노드로 뿌려보기 특징은 해당 레이어에만 작동한다. 레이어별로 폴리지를 달리하고싶을때 좋다. (스테틱메시 폴리지에서도 특정레이어를 피..

UE4,5 2022.04.22